보험 리모델링 해지 vs 유지 당신의 선택은?
친인척이나 지인들이 보험회사에 취업을 하게 되어, 차마 거절하지 못하고 가입을 한 보험들이 있으시죠? 물론 저도 그런 보험이 많이 있었는데, 몇년전 과감하게 보험 리모델링을 통해서 해지 VS 유지 고민을 진지하게 한적이 있습니다.
장롱면허라는 말이 있듯이, 장롱보험이라는 말도 있는데요.
상품의 상세내용은 모른체, 지금껏 넣어둔 돈이 아까워 그냥 보험증권만 간직하고 있는 경우가, 생각보다 굉장히 많습니다.
보험은 미래에 대한 위험을 분산하기 위한 보장 상품으로 저축의 개념이 아닌데요.
따라서 현명한 리모델링을 시행한다면 각 가정의 재테크 뿐 아니라 새어나가는 돈을 막을수도 있습니다.
그럼 보험 리모델링 해지 VS 유지 하기 위한 당신의 선택은 무엇부터 고려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갱신형 인지 비갱신형 보험인지 확인하라.
가족의 모든 증권들을 확인하다 보면 여러가지 종류들이 나올텐데요.
비갱신형 보험은 왠만하면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적립해야 하는 월불입금이 과다하거나 갱신형 특약이 중복으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냥 놔두는 것이 좋습니다.
1년, 2년 지날때마다 비갱신형 상품은 금액이 올라 가게 되므로 해지하면 손해볼 확률이 큽니다. 따라서 특약부분과 월불입금이 부담스러울 경우만, 해당 부분에 대해서만 검토해보세요.
갱신형 상품의 보장을 확인하라.
많은 상품들이 출시되면서 중복이 되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입원비, 의료실비, 통원치료비, 사망보험금 등 각각의 보장 내용을 분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거의 유사한 보장이 2~3개 가입이 되어 있다면, 과감하게 리모델링을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매월 보험료 내는데 허덕인다면 보장금액을 조금 줄이더라도, 분산시키고 상품을 통합시켜 보험료를 낮추는 것도 방법입니다.
정기보험이 종신보험보다 저렴하다.
보통 집안의 가장은 사망보험금을 위험의 한 방법으로 가입을 하게 됩니다.
허나 정기보험이 종신보험에 비해 보험료가 저렴하고 같은 가치의 보장을 받을수 있습니다.
스스로 가족의 보험을 분석하고 리모델링 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데요.
각 보장별 내용이 조금씩 다 틀리고, 관련 용어들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입니다. 일단 보험증권을 건건이 확인한후, 상기 항목을 체크하셨다면 온라인의 간단한 상담 사이트를 통해 상담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보험 에이젼시 이긴 하지만 원하는 보장과 금액별로 무료 상담과 견적을 내주기 때문인데요. 예전과 같이 가입에 대한 압박이 없으니, 이런 회사나 사이트를 잘 이용하는 것도 좋은 재테크 방법입니다.
보험 리모델링 해지 VS 유지 당신의 선택은? [온라인 인기 좋은 사이트 바로 가보기]
단!!! 자신이 어떤 부분을 중점을 둘지는 스스로 결정을 해야만, 유용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이 부분을 결정하지 못했다면 먼저 선택부터 하세요.
아무쪼록 도움 되기를 바라며, 우리 모두 부자됩시다. ^^.